직구 시 관세·부가세 계산법, 배송비 포함인가요?
해외직구로 좋은 가격에 득템했지만, 결제 후 예상치 못한 세금 때문에 당황했던 적 있으신가요?
실제 국내 반입 시에는 상품 가격 외에 관세와 부가세가 추가로 부과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기준을 명확히 알고 계산하는 법을 알면, 불필요한 비용을 피하고 똑똑한 직구가 가능합니다.
오늘은 직구할 때 꼭 알아야 할 관세·부가세 계산 기준과 방법을 자세히 설명드릴게요.
관세·부가세, 왜 발생할까?
해외에서 물건을 구매하면 수입통관 절차를 거치게 되고,
이 과정에서 관세와 부가가치세(부가세)가 부과될 수 있어요.
이 세금은 물품 가격 + 해외배송비 + 보험료를 모두 포함한 총 과세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즉, "물건값만 세금 붙는 거 아냐?"는 오해는 금물입니다.
과세 기준 금액은?
✅ 미국 직구: 200달러 초과 시 과세
200달러 이하(미국 기준): 면세
200달러 초과 시: 관세 + 부가세 발생
✅ 그 외 국가: 150달러 초과 시 과세
150달러 이하: 면세
150달러 초과 시: 동일하게 세금 부과
※ 단, 화장품, 건강기능식품, 식품 등 일부 품목은 200달러 이하라도 과세될 수 있습니다.
세금 계산 공식은?
관세와 부가세는 아래처럼 계산합니다:
과세가격 = (상품 금액 + 해외배송비 + 보험료) × 고시환율
관세 = 과세가격 × 품목별 관세율
부가세 = (과세가격 + 관세) × 10%
예시로 $250짜리 미국산 전자제품을 직구했다고 가정해 볼게요.
(배송비 $20, 보험료 없음, 고시환율 1,300원, 관세율 8%)
과세가격 = (250 + 20) × 1,300 = 351,000원
관세 = 351,000 × 8% = 28,080원
부가세 = (351,000 + 28,080) × 10% = 37,908원
총 세금 = 28,080 + 37,908 = 65,988원
세금만 약 6만 5천 원! 예산 계획에 꼭 반영해야겠죠?
세금 계산을 도와주는 사이트!
1. 관세청 계산기
👉 관세청 해외직구 세금 계산기 바로가기
물건 가격만 넣으면 자동으로 세금을 계산해줘요!
2. 배송대행지 계산기 (아이포터)
👉 아이포터 계산기 바로가기
해외 직구하며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배송대행지를 쓰면 면세 기준이 바뀌나요?
A. 아니요. 미국 내 배송대행지를 사용하더라도 원산지가 미국이라면 200달러까지 면세입니다.
단, 구매처나 송장상 원산지가 '중국' 등 타 국가로 표기되면 150달러 기준 적용될 수 있으니 주의!
Q. 여러 건을 나눠 결제하면 면세 적용되나요?
A. 통관 시 합산과세 기준이 적용됩니다.
같은 날짜에 도착하거나, 같은 이름/주소라면 금액을 합산해서 과세할 수 있으니
하루에 하나씩, 수령인을 다르게, 배송일을 다르게 설정하는 게 안전합니다.
직구 세금 계산 요약표
해외직구는 가격 메리트가 큰 만큼, 세금 계산만 정확히 하면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피할 수 있습니다.
꼼꼼한 사전 계산과 상품 확인을 통해, 똑똑한 소비자로 거듭나 보세요!